본문 바로가기
역사 자료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조 기사 2

by T의Tistory 2021. 11. 28.
馬韓西. 其民土著, 種, 知蠶桑, 作綿布. 各有長帥, 大者自名爲臣智, 其次爲邑借, 散在山海間, 無城郭. 

有爰襄國·水國·桑國·小石索國·大石索國·優休牟涿國·臣濆國·  北宋本, 活作沽. 伯濟國·  伯濟國, 卽百濟國. 速盧不斯國·日華國·古誕者國·古離國·怒藍國·支國·離牟盧國·素謂乾國·古爰國·莫盧國·卑離國·占離卑國·  馮本, 卑作甲, 誤. 國·支侵國·狗盧國·卑彌國·監奚卑離國·古蒲國·致利鞠國·冉路國·兒林國·駟盧國·內卑離國·感奚國·盧國·卑離國·烏旦國·  宋本, 臼作臼 , 卽匊字. 臼與臼異, 未詳孰是.一離國·不彌國·半國· 宋本, 支, 作犮. 狗素國·盧國·牟盧卑離國·臣蘇塗國·莫盧國·  錢大昭曰, 莫盧國, 已見上文, 此重出. 國·臨素半國·臣雲新國·如來卑離國·楚山塗卑離國·一難國·狗奚國·不雲國·不斯濆邪國·爰池國·馬國·楚離國, 凡五十餘國.  


范書云, 馬韓在西, 有五十四國, 其北與樂浪, 南與倭接. 滿洲源流考卷二云, 三韓統名辰國, 自漢初已見. 後爲親羅百濟所倂. 其七十八國之名, 備載於魏志, 國名多繫以卑離二字, 如監奚卑離·內卑離·辟卑離·如來卑離, 以滿洲語考之, 當爲貝勒之轉音, 正猶汗之訛爲韓, 而三汗之統諸貝勒, 於體制恰相符合也. 至馬韓, 亦作慕韓, 辰韓, 亦作秦韓, 弁韓, 亦作弁辰, 又作卞韓. 尙書傳, 扶餘馯並稱. 正義謂, 馯, 卽韓也. 當時, 祗以諧音, 並非漢語, 范蔚宗, 始稱爲韓國韓人. 魏志, 遂有韓地韓王之目, 甚者至訛爲韓氏. 又如弁韓, 在三韓中, 記載獨少. 考史記眞番注謂, 番音普寒切. 遼東有潘汗縣, 或卽弁韓之轉音, 亦未可定. 或有以三韓爲高麗者, 蓋因宋史高麗傳. 有崇寧後, 鑄三韓通寶之文. 又遼史外紀, 遼時, 常以三韓國公, 爲高麗封號, 遂謂三韓之地, 盡入高麗, 不知高麗之境, 亦屬三韓所統, 當時假借用之, 木經深考耳. 至遼之三韓縣, 乃取高麗俘戶所置, 非其故壤也. 


大國萬餘家, 
國數千家,  毛本, 小, 作千, 誤. 總十餘萬戶. 辰王支國. 臣智或加優呼臣雲遣支報安邪踧支濆臣離兒不例拘邪秦支廉之號. 其官有魏率善·邑君·歸義侯·中郞將·都尉·伯長. 

馬韓은 [三韓 中에서] 서쪽에 위치하였다. 그 백성은 土著生活을 하고 곡식을 심으며 누에치기와 뽕나무 가꿀 줄을 알고 綿布를 만들었다. [나라마다] 각각 長帥가 있어서, 세력이 강대한 사람은 스스로 臣智라 하고, 그 다음은 邑借라 하였다.
[그 나라 사람들은] 산과 바다 사이에 흩어져 살았으며 城郭이 없었다.
 
[馬韓의 諸國으로는] 爰襄國·牟水國·桑外國·小石索國·大石索國·優休牟涿國·臣濆沽國·伯濟國·速盧不斯國·日華國·古誕者國·古離國·怒藍國·月支國·咨離牟盧國·素謂乾國·古爰國·莫盧國·卑離國·占離卑國·臣釁國·支侵國·狗盧國·卑彌國·監奚卑離國·古蒲國·致利鞠國·冉路國·兒林國·駟盧國·內卑離國·感奚國·萬盧國·辟卑離國·臼斯烏旦國·一離國·不彌國·支半國·狗素國·捷盧國·牟盧卑離國·臣蘇塗國·莫盧國·占臘國·臨素半國·臣雲新國·如來卑離國·楚山塗卑離國·一難國·狗奚國·不雲國·不斯濆邪國·爰池國·乾馬國·楚離國 등 모두 5십여國이 있다. 큰 나라는 萬餘家이고, 작은 나라는 數千家로서 總 10餘萬戶이다.
 
辰王은 月支國을 통치한다. 臣智에게는 간혹 우대하는 호칭인 臣雲遣支報 安邪踧支 濆臣離兒不例 狗邪秦支廉의 稱號를 더하기도 한다. 그들의 관직에는 魏率善·邑君·歸義侯·中郞將·都尉·伯長이 있다.

원문 및 번역문 출처 : 한국사데이터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