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문 리뷰4

백제의 관모ᆞ관식과 지방통치체제 항 목 내 용 논문명 백제의 관모관식과 지방통치체제 저 자 이남석 출 처 한국사학보 33집, 고려사학회 1. 서론 연구사 ○ 문제제기 ○ 발굴자료 증가로 기왕에 일반화된 백제사에 대한 수정의 필요성 제기됨 연구목적 ○ 관모·관식의 이해 ○ 고대국가 백제의 지방사회 실상과 통치방식의 이해 ○ 관모 관식의 존재양상에 정치, 사회의 변화상 반영되어 있음을 입론 2. 본론 자료검토 1) 백제의 관모·관식 금동관모 - 공주 수촌리(토광묘/석실분), 서산 부장리(토광), 익산 입점리(횡혈식석실), 나주 신촌리(옹관), 고흥 안동고분(석곽), (천안 용원리-관모장식 추정) 금제관식 - 무령왕릉, 복암리 3호분 7호석실 은제관식 - 부여 하황리 전세품, 부여 능안골 33, 45호분, 부여 염창리 42호분, 논산 육곡리.. 2022. 1. 3.
백제 의관제의 정비시기 검토-은화관식과 금동관모를 중심으로- 항 목 내 용 논문명 百濟 衣冠制의 정비시기 검토 -銀花冠飾과金銅冠帽를중심으로- 저 자 나용재 출 처 사학지 제53집 (2016.12) 1. 서론 연구사 ○ 백제 의관제에 대한 연구는 복식사 관점과 제도사 관점 2가지로 대별됨. ○ 한국 고대사에서는 자료의 부족으로 연구에 어려움이 있음. 문제제기 ○ 백제 의관제에 대한 기록이 시기적으로, 내용상으로 서로 다름 ○ 백제 의관제의 정비시기와 변천양상 파악 어려움 ○ 최근 은화관식과 금동관모 등 고고학 자료 증가에 따라 이를 통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연구목적 ○ 은화관식과 금동관모라는 자료가 백제 의관제의 정비시점을 파악하는데 있어 어떠한 유용성이 있는지 검토 ○ 백제 의관제 정비시기의 하한 시점과 상한 시점을 제시하고자 함 2. 본론 자료검토 ○ 백제 의.. 2021. 12. 26.
신라고분 출토 운모의 성격(김은경) 논문의 요약 내용을 보면 1. 운모는 그동안 유물로 인식되는 경우가 드물어(자연 광물로 오인) 과거 발굴자료에서는 그 현황을 파악하기 어렵다. 2. 운모는 문헌기록의 영향으로 신선사상과 연관된 선약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었다. 3. 최근 발굴자료에서 운모의 확인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출토위치 등 그 맥락을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4. 운모는 크게 '가공품'과 '비가공품(원석)'이 확인되는데, 신라지역 출토품 중에는 가공품의 비중이 높다. 5. 운모는 도교사상과 관련된 유물로 판단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황남대총 남분, 쪽샘 44호에서 돌절구 및 돌공이가 공반된 사례), 장신구로서 사용된 사례 모두 있음. 6. 운모는 신라지역에서 황오리 14호 1·2곽 출토품(5세기 중반)이 현재까지 확인된.. 2021. 12. 15.
삼국지와 후한서 한전의 '진왕' 이해 -윤용구- 논문 리뷰 삼국지와 후한서 한전의 '진왕' 이해- 出土文獻과 傳存文獻의 字句변화를 중심으로- (저자 : 윤용구) 1. 머리말 연구사 검토 : '진왕'에 대한 논란의 배경 - 삼국지에는 마한과 진한에 각기 진왕이 병존하는 모습으로 기록 -> 내용 모호 - 후한서는 마한에만 진왕이 존재하며, 삼한 전체의 왕으로 표현 -> 사회 발전 단계상 납득 불가 문제제기 : 사료비판의 필요성 제기 - 두 사서 모두 사본으로 전해져 옴 -> 자구의 탈락과 異同이 심함 - 사서의 재편성, 삭제(删削), 수정(改文)이 많음 - 사서 편찬자의 현재적 관점이 투영된 측면이 있음 접근방법 : 진왕 기사의 유형화 및 시대적 추이 검토 / 사서 간의 비교를 통한 '진왕' 기사의 원모습과 자구변화의 이해 기준 제시 연구목적 : 삼국지 변진한전의 .. 2021.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