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5

치아에서 석탄 사용 흔적을 찾다 미케네인의 치아에 대한 연구 과정에서, 청동기시대 그리스인들은 3,300년 전에 작업장에서 석탄을 태웠다고 한다. 그 근거는 치아에 남아있는 치석에서 석탄을 태울 때 발생하는 성분이 검출된 것이다. 원래 연구의 목적은 치석에 남아있는 음식물찌꺼기를 통해 식생활 연구였다고 하는데.... 뜻밖의 연구가 함께 이루어진 셈이다. https://www.haaretz.com/archaeology/MAGAZINE-archaeologists-identify-oldest-use-of-fossil-fuels-in-europe-1.10480844 Archaeologists identify oldest use of fossil fuels in Europe *** www.haaretz.com 한편, 현재까지 고고학적으로 석탄을.. 2021. 12. 23.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조 4 - 將其左右宮人走入海... (원문 출처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將其左右宮人走入海, 居韓地,註 163 自號韓王. - [準王]은 그의 近臣과 宮人들을 거느리고 도망하여 바다를 경유하여 韓의 지역註 163에 거주하면서 스스로 韓王이라 칭하였다. 魏略曰: 其子及(「宋本」에는 ‘友’로 되어 있다.) 親留在國者, 因冒姓韓氏. 準王海中, 不與朝鮮相往來. - 위략에 이르기를, 準의 아들과 친척으로서 [조선]나라에 남아있던 사람들도 그대로 韓氏라는 姓을 따랐다.(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는 사칭하였다고 해석되어 있는데, 因자를 '따랐다' 혹은 '이어받았다'로 해석하는게 더 자연스럽다고 생각한다.) 準은 海外[의 나라]에서 王이 되었으나 조선과는 서로 왕래하지 않았다. 其後絶滅, 今韓人猶有奉其祭祀者. - 그 뒤 準의 후손은 絕滅되었으나, 지금 韓人 중에는.. 2021. 12. 22.
개찰 결과로 입찰 이해하기 용역의 기초 금액 : 44,319,000원 총액계약, 수의견적제출, 적격심사 비대상( 적격심사 비대상이라는 말은 무조건 낙찰하한율 이상의 최저가 입찰임) 예정가격 구간은 -3%~+3% 예가 산정은 복수예가 15개에 가장 많이 선택된 4개의 복수예가 산술평균 값 낙찰자 선정은 예정가격 이하로, 88% 이상. 위 내용으로 예가 추정을 해보면, 아래와 같다. (엑셀은 본 블로그 2021.12.08 - [잡동사니] - 입찰 가격 계산하기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예정가격은 최소 42,989,430원(-3%) ~ 최대 45,648,570원(+3%) 이다. 이 말은 1순위로 투찰하기 위해서는 88%에 가장 근접해야 하니, 37,830,698원 ~ 40,170,742원 사이에서 투찰금액을 선택해야 한다는 말이 된다... 2021. 12. 21.
문화재 발굴조사 비용 계산하기 최근 블로그 유입 현황을 보니, 문화재 조사비용을 검색해서 들어오는 사례가 증가하고있기에, 관련 글을 포스팅한다. 문화재 조사는 지표조사, 표본조사, 시굴조사, 정밀발굴조사가 있고, 그 밖에 참관조사(입회조사)라는 것이 있다. 이들 조사비용은 문화재청에서 고시한 "매장문화재 조사용역 대가의 기준"에 근거해서 책정되는데, 이를 정리한 것이 아래의 사이트이다. https://www.e-minwon.go.kr/srvy/Srvy_index.jsp 매장문화재 조사대가 계산 프로그램 | 문화재청 고객지원센터 www.e-minwon.go.kr 1. 계산프로그램 접속 2. 면적 입력과 난이도 보정 체크 육상지표조사의 경우에는, 사업면적만 알아도 산출이 쉽다. 위 프로그램에서 육상지표조사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 화면이 뜨.. 2021. 12. 21.
대구 캠프워커 반환부지 내 문화재 표본조사 결과 '유구'확인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88&aid=0000736326 [단독] 대구대표도서관·평화공원·3차순환로, 문화재 '암초' 차질 빚나 대구대표도서관과 대구평화공원이 조성될 캠프워커 반환부지 내 헬기장과 3차 순환도로가 들어설 동쪽 활주로 일부가 문화재 조사 범위에 포함됐다. 이 때문에 해당 사업 진행에 차질이 생기는 news.naver.com 문화재를 개발 사업의 '암초'쯤으로 인식하다니.... 2400제곱미터 면적을 정밀발굴조사 한다고 해도 품셈기준으로 실제 조사일수는 50일 정도인데.... 100년만에 반환이라는데, 6개월 정도 더 기다려 줄 수 없을까? 혹 가치가 높은 유적이 나와 현지 보존하라 하더라도,.. 2021. 12. 19.
문화재 조사와 Qgis - 설치 요즘은 문화재 조사가 있는 경우 그 위치를 SHP파일로 작성하여 문화재GIS에 탑재해야 한다. 따라서 요즘 연구원들은 필수로 QGIS를 다뤄야 한다. 다행인건 극히 일부의 기능만 알면 문화재 조사 업무를 처리하는데 큰 문제가 없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QGIS 설치와 기초 셋팅에 대해 다룬다. 1. QGIS 사이트로 접속 2. 녹색으로 된 "지금 다운로드"를 클릭하면 아래 화면이 뜬다.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버전이 다양한데, 필자는 하단의 독립설치관리자 버전을 받아서 사용한다. (포스팅용이라 개인 놋북으로 설치해서 여기서는 맥 버전이다) 3. 설치후 실행 4. 기본 셋팅 - 패널과 툴바 설정 : 별도의 설정을 반드시 할 필요는 없다. 잘 모를 땐 다 켜도 좋다. 다만 화면이 너무 번잡하다 느껴지면, 필요.. 2021. 12. 19.
김의겸의원, 문화재보호법 개정안 발의 (2021.10.09.) 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46439 지자체 문화재 관리부실...전문인력 의무배치 법개정 추진 - BBS NEWS 문화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늘면서 현장관리 수요가 늘고 있지만, 전국 기초자치단체 대부분은 전담부서가 없거나 비정규직 인력으로 관리하면서 만성적인 관리부실이 지적됐습니다. news.bbsi.co.kr 실제 지자체에 전문 학예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법 개정이 이루어져, 전문 인력 충원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2021. 12. 16.
창원 내동패총, 원삼국시대 주거지 가능성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365452 "창원 내동패총, 원삼국시대 주거지 가능성" 창원 내동패총 시굴조사에서 '원삼국시대' 집터가 발견됨에 따라 정밀발굴조사로 전환키로 했다. 창원시는 창원시 성산구 내동 319의 7 일원 내... www.knnews.co.kr 최근 해남 군곡리패총도 8차 발굴조사가 완료되었는데, 해남 군곡리패총 역시 원삼국시대에 해당하며, 주거지 등이 확인되었다. 창원 내동패총 발굴조사가 기대된다. 2021. 12. 16.
2400년된 차 찌꺼기, 중국서 발견 http://www.sci-news.com/archaeology/zoucheng-tea-10362.html 2,400-Year-Old Tea Residue Found in China | Sci-News.com Archaeologists have found the ancient charred remains of tea in a bowl from a Warring State period tomb in the ancient capital city site of the Zhu Kingdom, China. www.sci-news.com 2021. 12. 16.
6.25때 도난 당한 대구시립박물관 유물 https://www.tbc.co.kr/news?c1=morning&c2=&qt=## 상약국명 음각운룡문합 TBC::대구경북뉴스 www.tbc.co.kr https://www.tbc.co.kr/news?c1=morning&c2=&qt=## 낙랑거울 TBC::대구경북뉴스 www.tbc.co.kr 전쟁의 상흔... 2021. 12. 16.
문화유산, 게임과 메타버스를 통해 전 세계로 확산 https://www.news1.kr/articles/?4524905 '검은사막' 만든 펄어비스 문화재에 눈뜨다 …국립박물관문화재단과 맞손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우리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한 여러 아이템들을 게임에서 만날 수 있다면, 꼭 플레이 해보고 싶을 것 같네요. 검은사막에서는 우리 전통 무기들이 아이템으로 등장하고, 도깨비에서는 박물관 배경이 등장하고.. 기대되네요. 2021. 12. 16.
신라고분 출토 운모의 성격(김은경) 논문의 요약 내용을 보면 1. 운모는 그동안 유물로 인식되는 경우가 드물어(자연 광물로 오인) 과거 발굴자료에서는 그 현황을 파악하기 어렵다. 2. 운모는 문헌기록의 영향으로 신선사상과 연관된 선약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었다. 3. 최근 발굴자료에서 운모의 확인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출토위치 등 그 맥락을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4. 운모는 크게 '가공품'과 '비가공품(원석)'이 확인되는데, 신라지역 출토품 중에는 가공품의 비중이 높다. 5. 운모는 도교사상과 관련된 유물로 판단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황남대총 남분, 쪽샘 44호에서 돌절구 및 돌공이가 공반된 사례), 장신구로서 사용된 사례 모두 있음. 6. 운모는 신라지역에서 황오리 14호 1·2곽 출토품(5세기 중반)이 현재까지 확인된.. 2021.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