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위서동이전 한조 기사3
원문 및 해석 출처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해석 중 이 색상의 한글은 필자의 해석으로, 정확하지는 않다) 侯準校勘 120旣僭號稱王, 淮, 當作準, 見前濊國傳注. 爲燕亡人衛滿所攻奪, 丁謙曰, 箕淮之王馬韓也. 據朝鮮史言, 避衛滿之逼, 率衆奪金馬郡居之, 自稱武康王. 金馬, 卽本傳, 王所治月支國, 今爲全羅道益山郡. [朝鮮]侯 準(「汲古閣本」·「藝文本」에는 ‘淮’로 되어 있다. 淮이 아니라 당연히 準이다. )이 참람되이 王이라 일컫다가 燕나라에서 亡命한 衛滿의 공격을 받아 나라를 빼앗겼다. 丁謙이 말하길, 箕淮은 마한의 왕이다. 조선사에 의하면, 위만의 접근을 피해 부하들을 이끌고 금마군에 자리를 잡고 스스로 무강왕이라 칭하였다. 금마는 즉 여기서 전하는, 왕이 다스리는 월지국으로, 지금의 전라도 익산군이다. 魏..
2021. 12. 12.
삼국지 위서동이전 한조 기사1의 주석 내용
본 기사의 내용은 앞서 정리하였으므로, 그 글을 참고하기 바란다. https://ancienthistory.tistory.com/2?category=900214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조 기사 韓在帶方之南, 東西以海爲限, 南與倭接, 方可四千里. 韓은 帶方의 남쪽에 있는데, 동쪽과 서쪽은 바다로 한계를 삼고, 남쪽은 倭와 접경하니, 면적이 사방 4천리 쯤 된다. 有三種, 一曰馬韓, 二 ancienthistory.tistory.com 아래의 기사는 위 기사에 덧붙은 중국 학자들의 주석이다. 인터넷과 사전, 바이두 번역기 등을 통해 해석한 것이므로 정확하지는 않다. 趙一淸(청나라 때의 문인)曰, 弁韓, 後漢書作弁辰, 然弁辰別是一國, 則此當作弁韓, 以當三韓之數, 竊疑范氏爲非. -> 조일청이 말하길, 변한은 후한서..
2021. 12. 12.
입찰 가격 계산하기
문화재조사 용역도 대부분 입찰로 이루어진다. 나라장터에 문화재조사, 시굴조사, 지표조사, 발굴조사 등등 관련 단어로 검색하면 많은 용역 입찰건을 볼 수 있다. 이 글은 문화재조사 용역 입찰에 있어서 입찰가격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정리한 것이다. 입찰에 앞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입찰 공고서를 꼼꼼히 보는 것이다. 현재 나라장터에 올라와 있는 것 중 가장 최근, 그리고 적절한 사례를 들어 설명하겠다. 위 파일은 고분 발굴용역에 대한 입찰 공고서이다. 내용을 보면, 1. 입찰에 부치는 사항 여기에 용역명, 위치, 과업량, 기초금액, 사업기간 등이 명시되어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초금액이다. 2. 입찰서 제출 및 개찰 입찰 마감일시 내에 나라장터에서 투찰해야 하고, 개찰은 지정된 시간보다 30분 ~ 1시..
2021.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