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5

약탈된 유물, 프랑스로 반환 https://www.archaeology.org/news/10395-220307-france-repatriation-looted Looted Artifacts Returned to France - Archaeology Magazine WASHINGTON, D.C.—CBS News reports that Steve Francis of the U.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handed over gold ingots, a skull, and a gold coin to French officials during a ceremony at the Washington, D.C. residence of the French ambassador, Philippe www.archaeol.. 2022. 3. 8.
경남 대가야에서 백제고분 확인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031606.html 경남 대가야 땅에서 나온 백제풍 무덤…주인의 국적은? [노형석의 시사문화재] 경남 산청 ‘M32호분’ 발굴 현장봉분속 돌무더기 석실 구조물아치형 천장·측벽 모두 온전전형적인 송산리형 분묘 구조“백제세력 영향력 행사 증거” 해석“단순히 장 www.hani.co.kr 뉴스 본문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하면, 성정용 충북대 교수는 인근 산성에서 백제계 유물인 인장 찍은 기와가 나오고 백제 송산리 형식의 전형적인 분묘 구조란 점을 중시했다. 백제 세력이 분명하게 산청에 영향력을 행사한 증거라고 해석했다. 반면, 김낙중 전북대 교수와 박천수 경북대 교수는 백제풍 기와나 백제풍 묘실이 보이지만, 주거지나.. 2022. 2. 18.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초기 '다작'의 증거 찾다 http://www.sci-news.com/archaeology/earliest-multi-cropping-10456.html Archaeologists Unearth Earliest Evidence of Multi-Cropping | Sci-News.com Archaeologists have unearthed the earliest micro-botanical evidence of the summer grain broomcorn millet (Panicum miliaceum) in Mesopotamia, identified using phytoliths (microscopic plant remains) in dung-rich sediments from Khani Masi, a mid-second mil.. 2022. 1. 31.
2022 민간 지표조사 지원사업 실시  지원대상 : 민간 시행 건설공사 / 면적 제한 없음  사업기간 : 당해 연도 1월~ 12월 - 예산 소진시 조기 마감됨(대체로 조기 마감 되었음) 지원 제외 대상  국가 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 「지방공기업법」에 따른 지방공기업 「지방공기업법」에 따른 지방공사가 같은 법 시행령 제47조의2에 따라 출자할 수 있는 한도에서 해당 법인의 자본금 중 2분의 1 이상을 출자한 법인 「방송법」에 따른 한국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법」에 따른 한국교육방송공사 신청 절차 1. 신청 (사업 시행자) 가. 지표조사 및 국비지원 대상 여부를 확인 (지자체를 통해서 확인) 나. 대상인 경우, 문화재 협업포털(https://www.e-minwon.go.kr:8443/we.. 2022. 1. 31.
노르웨이에서 바이킹 롱하우스 5기 확인 http://www.sci-news.com/archaeology/gjellestad-longhouses-10427.html Archaeologists Find Five Viking Longhouses in Norway | Sci-News.com Archaeologists using ground-penetrating radar have detected five longhouses in Østfold county, Norway. www.sci-news.com 롱하우스의 형태는 아래 사진과 같이 추정된다. 2022. 1. 6.
삼국지 위서동이전 한조 - 漢나라 때에는 樂浪郡에 소속되어 漢時屬樂浪郡, 四時朝謁. - [韓은] 漢나라 때에는 樂浪郡에 소속되어 철마다 알현(朝謁)하였다. 范書東夷傳, 建武二十年, 韓人廉斯人蘇馬諟等, 詣樂浪貢獻. 光武, 封蘇馬諟, 爲漢廉斯邑君, 使屬樂浪郡, 四時朝謁. 章懷注, 廉斯, 邑名也. - 범서 동이전 건무20년(A.D. 44년), 한(韓)의 염사(廉斯;지명)인 소마시(蘇馬諟) 등이 낙랑에 와서 공물을 바쳤다. - 광무제(후한)는 소마시를 봉하여 한의 廉斯邑君으로 삼아 樂浪郡에 소속시키고 철마다 알현(朝謁)하도록 하였다. 장희(章懷)의 주석에 따르면 廉斯는 읍의 이름이다. 魏略曰: 初, 右渠未破時, 朝鮮相歷谿卿以諫右渠不用, 東之辰國,註 164 - 魏略: 일찍이 右渠가 격파되기 전에, 朝鮮相 歷谿卿이 右渠에게 간(諫)하였으나 [그의 말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2022. 1. 6.
백제의 관모ᆞ관식과 지방통치체제 항 목 내 용 논문명 백제의 관모관식과 지방통치체제 저 자 이남석 출 처 한국사학보 33집, 고려사학회 1. 서론 연구사 ○ 문제제기 ○ 발굴자료 증가로 기왕에 일반화된 백제사에 대한 수정의 필요성 제기됨 연구목적 ○ 관모·관식의 이해 ○ 고대국가 백제의 지방사회 실상과 통치방식의 이해 ○ 관모 관식의 존재양상에 정치, 사회의 변화상 반영되어 있음을 입론 2. 본론 자료검토 1) 백제의 관모·관식 금동관모 - 공주 수촌리(토광묘/석실분), 서산 부장리(토광), 익산 입점리(횡혈식석실), 나주 신촌리(옹관), 고흥 안동고분(석곽), (천안 용원리-관모장식 추정) 금제관식 - 무령왕릉, 복암리 3호분 7호석실 은제관식 - 부여 하황리 전세품, 부여 능안골 33, 45호분, 부여 염창리 42호분, 논산 육곡리.. 2022. 1. 3.
일본인의 유전적 기원 https://www.archaeology.org/issues/453-2201/digs/10207-digs-japan-kofun-migration Japan's Genetic History - Archaeology Magazine The genetic origins of modern Japanese people have traditionally been traced to two populations: Jomon hunter-gatherers and Yayoi farmers. New research has identified evidence of a third ancestral strand, dating to the imperial Kofun period (A.D. 300–700 www.archaeolog.. 2022. 1. 2.
이집트 파라오 미라 시신, 3500년 만에 비밀 공개 카이로 연구진에 의해 디지털 방식으로 풀어낸 Amenhotep I세, 그의 무덤 장신구에서 치아까지의 세부 사항을 공개 https://www.theguardian.com/science/2021/dec/28/egyptian-pharaohs-mummified-body-gives-up-its-secrets-after-3500-years Egyptian pharaoh’s mummified body gives up its secrets after 3,500 years Amenhotep I ‘unwrapped’ digitally by Cairo scientists, revealing details from his grave jewellery to his teeth www.theguardian.com 아멘호텝 1세(.. 2021. 12. 28.
폭력의 역사 https://www.archaeology.org/issues/453-2201/digs/10215-digs-sudan-jebel-sahaba The Roots of Violence - Archaeology Magazine In the early 1960s, archaeologists from around the world descended on the Upper Nile Valley. They were scrambling to excavate ahead of the construction of the Aswan High Dam, which would submerge dozens of archaeological sites, including a 13,400-year-old www.archaeology.or.. 2021. 12. 28.
밀반출 유물 귀환에 결정적 역할했지만..일터 잃는 '문화재 파수꾼'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024637.html 밀반출 유물 귀환에 결정적 역할했지만…일터 잃는 ‘문화재 파수꾼’ [노형석의 시사문화재] 문화재감정위원 감축 논란 www.hani.co.kr 문화유산 밀반출이 매일 일어나는 일도 아니고... 업무량 감소??? 말 그대로 만약을 위한 대비책 아니었나? 얼마 전 세관원들 일 대충하는 뉴스도 나왔었고, 위 기사에서도 세관원 매수해서 감정관실 거치지도 않고 밀반출 했다는데... 업무량(해외 출국자 수)이 줄었으니 감정관을 줄이겠다 하다니.. 놀랍다.. 이에 대한 행안부 반박 기사도 있다. https://www.korea.kr/news/actuallyView.do?newsId=148897281&ca.. 2021. 12. 27.
백제 의관제의 정비시기 검토-은화관식과 금동관모를 중심으로- 항 목 내 용 논문명 百濟 衣冠制의 정비시기 검토 -銀花冠飾과金銅冠帽를중심으로- 저 자 나용재 출 처 사학지 제53집 (2016.12) 1. 서론 연구사 ○ 백제 의관제에 대한 연구는 복식사 관점과 제도사 관점 2가지로 대별됨. ○ 한국 고대사에서는 자료의 부족으로 연구에 어려움이 있음. 문제제기 ○ 백제 의관제에 대한 기록이 시기적으로, 내용상으로 서로 다름 ○ 백제 의관제의 정비시기와 변천양상 파악 어려움 ○ 최근 은화관식과 금동관모 등 고고학 자료 증가에 따라 이를 통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연구목적 ○ 은화관식과 금동관모라는 자료가 백제 의관제의 정비시점을 파악하는데 있어 어떠한 유용성이 있는지 검토 ○ 백제 의관제 정비시기의 하한 시점과 상한 시점을 제시하고자 함 2. 본론 자료검토 ○ 백제 의.. 2021. 12. 26.